중국 여행을 갔다가 북중국경 지역에서 어디가 북한이고 중국인지 헷갈려 하니 관광 안내원이 우리한테 푸른색이 안 보이는 민둥산 쪽이 북한이라고 합니다.
북한에선 한국 영상물 시청이 금지되어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통제와 처벌이 더 강화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면 북한 사람들은 이제 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아예 못 보고 있는 건가요?
제가 탈북민 분들에게 평소에도 좀 관심이 많은 편인데, 코로나 때 어려웠던 가족과의 연락이 지금은 좀 나아졌는지가 궁금해서요. 최근엔 주고 어떤 방법으로 가족들과 연락을 주고 받나요?
북한에선 노후에 쓸 돈을 어떻게 장만하는지 궁금해져서요. 북한 사람들의 재테크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서울에 살고 있는 50대 직장인입니다. 요즘 한국은 금값이 너무 오르고 있어서 친구들끼리 ‘어디서 새로 금광이라도 발견됐으면 좋겠다’고 우스개소리처럼 주고 받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북한은 여기 남쪽보다 지하자원이 더 많다고 알고 있는데, 혹시 금광도 많이 있나요? 그렇다면 북한 주민들도 금제품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얼마 전에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는데 탈북민이 자신은 청진에서 평양까지 수시로 왔다 갔다 했었고, 돈도 많이 벌었고, 부러울 게 없었다는 얘기를 하더라고요. 많은 북한 주민들이 아직까지도 식량난을 겪고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 않은 부자가 많은 건가요? 그렇다면 북한의 부자와 서민들의 빈부격차는 얼마나 큰가요?”
북한 사람들은 평소에 어떤 농담이나 유머를 주고 받나요?”
얼마 전 본 북한 영상에선 김정은이 담배 피우는 장면이 많이 나오던데, 북한엔 금연제도나 정책이 없는 건가요?”
제가 얼마 전 인터넷에서 북한의 기독교 박해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는 기사를 봤는데, 실제 그 통제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지더라고요. 북한에는 그럼 정말로 종교가 존재하지 않는 건가요? 그럼 혹시 북한에선 종교가 아닌 김씨일가를 신처럼 믿고 있는 걸까요?
제 고향은 울산이고 부모님도 울산에 살고 계세요. 지금은 방학이라 울산 집에 내려와 있는데요. 부모님 일도 좀 도와드리고, 고향 친구들도 만나면서 오랜만에 빈둥거리고 있습니다. 이번 주말에는 대학 친구 2명과 일본 삿포로로 여행을 떠납니다. 그런데 북한의 제 또래 학생들은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는지 궁금하네요. 북한 대학생들은 방학에 뭐하면서 보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