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국제사회와 연쇄회의…북 억류 한국인 석방 협조 요청

앵커: 한국 통일부가 현재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인 석방을 위해 유엔 및 정부 간 기구, 영국 의회 등 국제사회와 연쇄 화상회의를 갖고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영호 한국 통일부 장관이 정부 간 기구인 국제 종교·신념의 자유연대(IRFBA)와 유엔 자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WGAD), 영국의 북한에 관한 초당적 의원모임(APPG NK) 측과 차례로 연쇄 화상회의를 가졌습니다.

14일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지난 13일 세차례의 화상회의를 통해 북한의 억류 행위가 불법임을 공식화한 지난 3월 WGAD 결정의 후속조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WGAD가 한국인 억류자들에 대한 북한의 후속조치와 이행 기한을 결정문에 적시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북한이 이를 반드시 이행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지속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김 장관은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활동을 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지휘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문제 제기가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로버트 레학 국제 종교·신념의 자유연대(IRFBA) 의장은 김 장관과의 화상회의에서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억류 선교사들의 영상을 활용한 깜빠니아 및 주요 기념일 등 계기 시마다 이들의 석방을 위한 한국 정부와의 공동 성명 발표를 제안했습니다.

레학 의장은 이와 관련해 유럽 현지시간으로 오는 15일 열리는 IRFBA 정례회의에서 한국 통일부와의 협력을 공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레학 의장은 미 국무부가 IRFBA의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미북대화와 같은 주요 계기 시 마다 해당 문제가 제기될 수 있도록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이어 레오 14세 신임 교황 즉위 이후 교황청과의 협조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IRFBA는 세계인권선언 18조에 근거해 종교, 신념의 자유를 증진하기 위한 차원에서 창설된 정부 간 국제기구로, 43개의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과 유엔 WGAD 관계자들이 지난 13일 화상회의를 가졌다.
김영호 장관-wgad 김영호 통일부 장관과 유엔 WGAD 관계자들이 지난 13일 화상회의를 가졌다. (통일부)

한나 유드키브스카 WGAD 의장도 김 장관과의 화상회의를 통해 북한의 후속조치 이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며 올해 말 유엔 인권이사회 및 총회에 한국인 억류 선교사와 관련된 진행 상황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어 유엔 국제기구와 다자협의체 등 다양한 통로를 활용해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 선교사 문제를 공론화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겠다는 입장도 덧붙였습니다.

데이비드 알톤 영국 APPG NK 의장과 이언 던컨 스미스 하원의원은 영국 의회 활동을 통해 영국 정부가 북한에 선교사 석방을 촉구할 수 있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억류된 한국 선교사들의 석방과 관련해 APPG NK 의장단 및 전체 회원들의 공동 서한을 영국의 관계 장관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3월 북한의 한국인 선교사 억류 행위가 ‘자의적인 구금에 해당한다’는 WGAD의 결정을 계기로 북한에 한국인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김인애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의 말입니다.

[김인애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유엔 실무그룹은 북한에 의한 선교사들의 자유 박탈은 세계인권선언 및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관련 조항들에 위반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우리 국민들을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석방할 것을 촉구합니다.


관련기사

한국, 유엔 ‘북 선교사 불법구금’ 인정에 “즉시 석방해야”

“한국, 북 억류 선교사송환 노력에 박차 가해야”


공직 진출 탈북민 211명…2010년 이래 최대규모

이런 가운데 김영호 장관은 14일, 지난해 공직에 신규 채용된 탈북민들을 초청해 식사 및 격려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탈북민들이 공직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하는 것이 남북 주민통합과 통일의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통일부는 지난해 ‘북한이탈주민의 날’ 제정을 계기로 공공부문에서의 탈북민 채용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이에 한국의 인사혁신처는 중앙정부의 인사평가제도와 지방자치단체 평가제도를 탈북민 채용 시 가점을 확대하는 것으로 개편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 공직에 진출한 탈북민은 모두 211명으로 이는 2023년 기준 194명 대비 17명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같은 탈북민 공직자 수는 이들이 본격적으로 한국 공직에 진출한 2010년 이래 최대 규모입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