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군이 남북 9.19 군사합의 이후 중단됐던 휴전선 인근 표적지에 대한 포병 실사격 훈련을 재개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육군은 22일 그동안 실사격 훈련이 중단됐던 미국 ‘스토리표적지‘에 대한 포탄 사격훈련을 7년만에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 21일 재개된 이번 포병 실사격 훈련은 남북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이후 경기도 파주 휴전선 인근에 위치한 스토리표적지 재사용에 대한 한미 간 양해각서 체결에 따른 첫 훈련이었습니다.
한국과 북한은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군사분계선(MDL) 5km 이내에서 포병 사격 훈련 및 연대급 이상의 야외 기동훈련을 전면 중단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스토리표적지에 대한 실사격은 지난 2018년 8월이 마지막이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9.19 군사합의에도 불구하고 도발을 거듭 감행하자 한국 정부는 지난해 6월 9.19 군사합의의 효력을 정지한 바 있습니다.
22일 배석진 한국 육군 공보과장의 말입니다.
[배석진 한국 육군 공보과장] 9.19 군사합의에 따라 표적지 1개소, 사격진지 2개소가 사용이 중지된 바 있고, 사격진지 2개소는 작년 9.19 군사합의 호력정지 이후 재개됐습니다. 이번에 스토리표적지까지 재개됨으로써 모두 정상화됐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번 실사격 훈련에는 한국의 1사단과 1포병여단 예하의 포병대대에서 각각 K-55A1 자주포 6문과 K-9A1 자주포 12문의 전력을 운용해 이뤄졌으며 총 60여 발의 사격이 진행됐습니다.
한국 육군은 “실전적 훈련에 어려움을 주었던 제한사항들을 충분히 해소하게 됐다”면서 “접적 지역에서 실제 작전 계획에 기초한 화력 운용과 장사거리 사격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찰위성 4호기, 목표 궤도 진입...대북 감시망 강화
이런 가운데 한국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한국의 정찰위성 4호기가 22일 오전 9시 48분 경, 미국의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에 실려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습니다.
발사된 한국 군의 정찰위성 4호기는 목표 궤도에 정상 진입 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군은 정찰위성 1~3호기에 이어 4호기까지 발사에 성공하면서 위성 군집 운용을 통한 위성들의 한반도 재방문 주기가 단축됩니다. 즉, 대북 감시망이 더욱 강화된다는 의미입니다.
한국 국방부와 방사청은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으로 한국 군은 독자적 감시 정찰 능력을 추가 확보했다”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의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찰위성 4호기는 앞으로 수개월 간의 운용 시험 평가 등을 거쳐 대북 감시, 정찰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기사
한국 군은 현재 중대형 정찰위성 5기를 쏘아 올리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마지막 5호기는 올해 내 발사될 예정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전력화 될 경우 한국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한반도 관찰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한국의 정찰위성 1호기는 지난 2023년 12월 2일 발사됐고 지난해 8월부터 정상 임무에 돌입했습니다. 2호기와 3호기는 각각 지난해 4월 8일과 12월 21일에 발사돼 현재는 전력화를 위한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
에디터 양성원